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버들마편초 키우기 완벽 정리

by 무대위 2023. 6. 25.

최근 국내에서 북유럽풍 정원이 유행하면서 버들마편초 인기도 덩달아 높아지고 있습니다. 빠르게 성장하고, 관리가 거의 필요없어, 초보자 분들도 쉽게 키워보실 수 있죠. 오늘은 버들마편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버들마편초 키우기

버들마편초-꽃

 

특징

학명 : verbena bonariensis

별명 : 숙근버베나

내한성 : zone7(-17.8 ºC ~ -12.2 ºC)

키 : 90 ~ 180cm

너비 : 30 ~ 90cm

식재 간격 : 30 ~ 45cm

물 주기 : 평균

햇빛 : 양지

유지 관리 : 낮음

토양 : 점토, 양토, 모래

배수 : 촉촉하지만 배수가 잘 되는 곳

 

 

 

버들마편초는 영국 왕립원예학회에서 상을 수상할 정도로 훌륭한 식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긴 줄기 끝에 빽빽한 라일락 꽃이 피어나며, 아래 사진과 같이 군락으로 식재했을 때 가장 아름답습니다. 마치 보라색 면사포를 씌워 놓은 듯한 느낌을 줍니다. 

버들마편초는 또한 엄청난 성장 속도로 유명합니다. 봄부터 자라기 시작해서 여름에는 하루하루가 다릅니다. 키는 90 ~ 180cm, 너비는 30 ~ 90cm 정도 자랍니다. 빠른 성장을 위해서는 땅이 촉촉하면서 배수가 잘 되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꽃은 여름부터 피기 시작해 10월까지 유지합니다. 꽃이 지고 나면 아래 사진과 같이 변색된 채로 모양을 유지하며, 가을 정원에서도 존재감을 뽐냅니다. 겨울이 되면 점차 녹아 없어지게 됩니다.

 

버들마편초 내한성은 영하 17도 정도로 추위에는 다소 약한 편입니다. 실제로 우리나라 중부지방의 경우 월동이 힘들고 남부지방에서는 가능합니다. 다만 월동이 안 되더라도 자연발아가 굉장히 잘 됩니다. 그래서 다음 해에 그 자리에서 다시 자라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가장 확실한 방법은 꽃이 지고 나서 씨앗을 받아두셨다가 봄에 파종하는 것입니다.

 

 

관리

버들마편초를 풍성하게 키우는 팁 알려드리겠습니다. 바로 적심을 해주는 것인데요, 쉽게 말해 아래 사진과 같이 버들마편초 꽃대를 잘라주는 것입니다.

버들마편초-적심

 

꽃대를 잘라주게 되면 사진과 같이 잘린 꽃대 양 옆으로 곁가지가 나오게 됩니다. 그리고 이 곁가지 각각에서 꽃이 피게 되는 것이죠. 아래는 적심을 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비교한 사진인데요, 확실히 적심을 해주면 훨씬 더 풍성한 꽃을 볼 수 있습니다.

 

버들마편초-적심-비교
왼쪽 : 적심 O  /  오른쪽 : 적심 X

 

 

 

식재

버들마편초 식재는 씨앗을 파종하거나 모종을 심는 방법이 있습니다. 파종할 경우 발아가 되지 않을 가능성도 있어 원하는 장면을 만들기에는 모종을 심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다만 비용이 더 많이 들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마당의 작은 공간을 채울 때는 모종으로, 넓은 면적에 군락을 만들 때는 파종 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번식

버들마편초는 씨앗으로 번식 가능합니다. 파종 시기는 봄(3~4월)이며, 그보다 늦게 파종해도 당해에 개화하긴 합니다. 파종 후에는 물이 마르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모종의 식재는 봄부터 여름까지 어느 시기에 하셔도 상관 없습니다.

 

 

 

함께 읽으면 도움되는 글

 

벨가못(모나르다) 키우기 완벽 정리

여름이 되면 많은 분들이 찾는 야생화가 있죠. 바로 벨가못 입니다. 벨가못은 시트러스 향과 빨간 꽃, 큰 키를 가진 덕분에 정원에서 존재감을 내뿜는 꽃입니다. 오늘은 벨가못 특징, 관리, 번식

mudaewi.tistory.com

 

이 글은 쿠팡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작성자에게 수수료가 제공될 수 있으나 제품 가격에는 영향 없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