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6월 15일부터 청년도약계좌 신청이 시작되었습니다.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 중복 여부가 궁금하신 분들 있으실 텐데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는 중복 가입은 불가능합니다. 자세한 내용 알아보시죠.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중복 신청 안 돼
기존 청년희망적금에 가입되어 있으신 분들은 중도해지 후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타거나, 만기 후 순차 가입 가능합니다. 그렇다면 청년희망적금 중도해지 시 어떤 불이익이 있는지 궁금하실 텐데요, 아래와 같습니다.
- 저축장려금 36만 원 못 받음
- 고금리 약정이율 혜택 못 받음
- 비과세 혜택 못 받음
청년희망적금의 중도해지는 가입한 은행 어플을 통해 비대면으로 가능합니다. 청년희망적금 만기 시 금리는 약 10%이지만 중도해지 시 금리는 3~4% 정도만 적용받게 됩니다.
청년도약계좌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 확인 부탁드립니다.
2023 청년도약계좌 가입방법 신청 대상 기간 완벽 정리
2023년 6월 15일(목)부터 청년도약계좌 신청이 시작됩니다. 만 19 ~ 34세 청년이면 가입 가능합니다. 월 최대 70만 원을 납입하면 정부 기여금을 더해 5년간 5천만 원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
mudaewi.tistory.com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비교
상품 | 청년도약계좌 | 청년희망적금 |
가입 대상 | 만 19 ~ 34세(병역복무기간 최대 6년 인정) | |
소득 요건 | 총 급여액 7,500만원 이하 (종합소득금액 6,300만원 이하) |
총 급여액 3,600만원 이하 (종합소득금액 2,600만원 이하) |
납입액 | 40 ~ 70만원 | 최대 50만원 |
정부 지원금 | 소득구간에 따라 3 ~ 6% | 1년차 2%, 2년차 4% |
만기 | 5년 | 2년 |
혜택 | 비과세 |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의 주요 차이점 별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 소득 요건 : 청년도약계좌의 소득 요건이 훨씬 높기 때문에 많은 청년들이 가입할 수 있습니다.
- 정부 지원금 : 청년희망적금은 정부지원금이 정해져있지만, 청년도약계좌는 소득에 따라 정부 지원금 비율이 달라지게 됩니다.
- 만기 :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청년희망적금은 만기가 2년이지만, 청년도약계좌는 5년으로 상당히 깁니다. 5년간 해지하지 않고 저축할 수 있는지 판단 후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청년희망적금 중도해지 하고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타야 할까?
저는 말리고 싶습니다. 일단 청년희망적금 만기는 2년으로 짧은 편입니다. 게다가 중도해지 시 많은 혜택이 없어져버립니다. 만기를 채우고 나서 청년도약계좌 가입이 가능하므로, 중도해지는 추천하지 않습니다.
댓글